갈마(역사)

▩남의 대리시험 때문에 장원급제 날린 사연

개마두리 2012. 9. 22. 19:24

 

 

- 한중연, 조선 선비 한글편지 소개 “시험 부정 빈번… 과거 취소 많아”

 

-『서울신문』서기 2012년 9월 19일자 기사

 

"과거를 이틀 동안 무사히 다 본 후에 선비들이 남을 데리고 들어온 사람이 있다고 말해 (합격자) 방을 내지 않고 그 과거를 파장(罷場)한 뒤 다시 회시(會試)를 보게 했습니다. 처음에는 (회시 보는 날을) 8일로 정하였다가 또 16일로 연기했는데 그날에나 반드시 볼지(시험이 치러질지), (이후로) 머물기가 민망합니다."

 

조선 숙종 때 경북 예천의 선비 이동표(李東標·1644~1700)가 1677년(숙종 3) 2월 과거 시험을 본 뒤 순천 김씨인 어머니에게 한글로 이런 내용의 편지를 써 보냈다. 다른 응시자의 부정 행위로 초시와 회시가 모두 취소되자 집에서 걱정하고 있을 어머니를 생각해 편지를 쓴 것이다. 비교적 담담한 편지 내용과 달리 이동표는 당시 회시에서 장원급제를 해 놓고도 다른 응시자의 부정 행위로 초시와 회시 합격이 모두 취소되는 불운을 겪었다. 회시는 초시에 합격한 사람이 2차로 치르던 시험이다.

 

10여명이 부정 행위를 저지른 것으로 드러나자 숙종은 대신들과 격론을 벌인 끝에 시험을 취소하는 파방(罷榜)을 결정했다. 이는 숙종실록에도 기록돼 있다. 당시 부정 행위자들은 차서(借書·다른 사람이 응시자의 답안지 글씨만 대필해 주는 일)와 차술(借述·다른 사람이 응시자의 답안 내용을 작성해 주는 일)로 시험 답안을 조작했다.

 

한국학중앙연구원(한중연) 어문생활사연구소는 19일 '제8회 조선시대 한글 편지 공개 강독회'에서 이동표의 한글 편지를 소개한다. 한중연 이래호 연구원은 "편지에 자신의 감정을 크게 내보이지는 않았지만 이동표가 같은 해(1677년) 8월과 10월에 다시 실시된 초시와 회시에 응시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장원 후 불합격 처리된 그때의 충격이 꽤 컸던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실력 있던 선비'였던 이동표는 6년 뒤인 1683년에야 과거에 응시해 향시 2등으로 회시에서 다시 장원급제 했다. 한중연 전경목 교수는 "조선시대에는 과거 시험이 중요했던 만큼 과거에서 부정 행위가 빈번했고 과거가 취소되는 일이 많았다."고 소개했다.

 

- 문소영 기자 symun@seoul.co.kr

 

- Copyrights ⓒ서울신문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