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명과 문명의 만남 2

"여기서 살아보고 싶어..." 자연과 궁의 조화로운 모습에 푹 빠진 이집트 친구들

- 움직그림이 올라온 곳 : https://www.youtube.com/watch?v=s4VlrnwA9_U ▶ 옮긴이(개마두리)의 말 : 이 움직그림을 보니, 언젠가는 미스르(영어 이름은 “이집트”인 나라의 바른 이름)로 가서 그 나라의 중세시대 궁전을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움직그림에 나오는 미스르 관광객들이 경복궁을 보고 감탄했다면(그리고 그 안에서 펼쳐졌던 갈마[‘역사’를 일컫는 순수한 배달말]와 옛 사람들의 삶을 상상했다면), ‘순혈’ 한국인인 나는 미스르에 가서 아랍 건물인 중세 미스르의 궁전을 보고 그 색다름에 (그리고 그 아름다움과 그 안에 살았던 사람들[왕/왕자/공주/왕족/시종들/호위무사들/군사들/요리사들/궁녀들/하인들/노예들]의 삶에) 푹 빠질 수 있을 테니까(원래부터 중세 아랍..

"한국에서 본 것 중 가장 신기해." 한국의 피라미드 대릉원과 천마총의 유물에 감탄한 유물 덕후 이집트 친구들

- 움직그림이 올라온 곳 : https://www.youtube.com/watch?v=OQaVlRX6pyQ ▶ 옮긴이(개마두리)의 말 : 나는 ‘미스르(영어 이름 “이집트”)의 메르(“피라미드”)와 스핑크스와 투탕카멘의 황금 유물들과 신전들을 보고 감탄하는 한국인 관광객들’은 보았어도, ‘배달민족의 중세(나는 서기 4세기 ~ 7세기를 “중세”로 보지, “고대”로 여기지는 않는다. 이는 윤내현 교수가 고조선 시대 이후를 “중세”로 보자고 제안한 사실과, 김상 교수가 서기 4세기 이후를 “중세”로 보자고 제안한 사실을 따른 것이다) 유적인 대릉원이나 중세 유물인 계림국(鷄林國)의 유물들을 보고 감탄하는 미스르인 관광객들’은 – 어서 와! 한국은 처음이지? : 이집트 편>을 보기 전에는 – 보지 못했기 때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