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 나눔(대담)

※ “‘일본군 위안부’ 명시 하려했지만 ….” 일(日) 교과서 집필자 고백

개마두리 2023. 10. 24. 22:24

교과서 검정으로 (최종) 기술하지 못했지만, 일본군(근대 왜군[倭軍] - 옮긴이 개마두리. 아래 옮긴이’)이 설치/관리한 성폭력이라, ‘일본군 위안부용어를 사용하려 했다(사실, 이 이름도 완전히 정확한 이름은 아니므로, ‘일본군 성[]노예근대 왜군 성노예라는 이름을 써야 한다 옮긴이). 일본(왜국[倭國] - 옮긴이) 정부 견해를 쓰라는 검정이 더 강해지면, 국정교과서에 가까워질 수 있어 우려된다.”

 

내년(올해인 서기 2023옮긴이)부터 일본 고등학생이 사용할 역사 분야 교과서 검정 결과가 지난 달 29(서기 2022년 양력 329옮긴이) 발표됐다.

 

지난해(서기 2021옮긴이) (양력 옮긴이) 4, 일본 정부의 각의(국무회의) 결정에 따라, 출판사가 제출한 교과서 초안에서 종군 위안부일본군 위안부표현은 위안부로 고쳐졌고, 일제강점기(대일[對日] 항전기 옮긴이) 조선인(한국인 옮긴이) 노무동원(이것은 노예노동 강요로 불러야 하며, 줄여서는 노예노동으로 불러야 한다 옮긴이)강제연행또는 연행이라는 용어는 삭제됐다(따라서, 우리 한국인들은 한때 왜국 정부와 언론과 이른바 ‘<북조선[왜국이 조선 공화국을 일컫는 이름]>의 일본인 납치 피해자의 식구들이 여러 번 강조한 이른바 일본인 납치를 한국의 역사 교과서에 실을 필요가 없고, 강조해서도 안 된다. 왜국이 아무리 실으라.”고 강요해도 싣지 말아야 한다! 옮긴이).

 

그러나 (일본의 옮긴이) 일부 교과서는 가해의 역사를 가르치려는 집필진의 노력이 드러났다.

 

초안에서 일본군 위안부란 표현을 사용하고, 일제의 한반도(코리아[Corea]반도 옮긴이) 식민지배도 상세히 기술한 일본사 탐구 의 대표 집필자인 오오구시 준지(大串 潤児[대곶 윤아 옮긴이])’ 신슈대(信州大[신주대 옮긴이]) 교수를 지난 5(서기 2022년 양력 45옮긴이) 도쿄에서 만나, (교과서 옮긴이) 집필과 검정에 대한 소회를 들었다.

 

그는 민중의 입장(관점/처지 옮긴이)에서 본 현대사를 연구하며, (서기 옮긴이) 2012년부터 역사 교과서 집필에 참여해 왔다.

 

- 교과서 초안 중(가운데 옮긴이) 유일하게 일본군 위안부표현을 썼는데.

 

“‘종군 위안부라는 표현은 고노 담화(1993)에도 나오지만, 역사학 연구에선 일본군 성 노예제등의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사실, 이 용어가 더 정확하고 올바르다! - 옮긴이).

 

일본군이 설치/관리한 위안소에서 이뤄진 성폭력이기 때문에, 일본군과의 관계를 명시하는 편이 낫다고 보고 일본군 위안부란 용어를 사용하려 했다. 그렇게 하는 편이 학생들도 더 이해하기 쉽다고 생각한다.

 

검정에 의해 안타깝게도 생각대로 기술하지 못했지만, 일본군 위안부 제도의 사실을 가능한 한 조사해 학습할 수 있도록 궁리해 썼다.”

 

- 정부 견해를 검정을 통해 강요하는 것은 지나치지 않나.

 

현재(서기 2022옮긴이) 일본에선 민간 교과서 회사가 여러 개의 교과서를 만들고 있다. 그런 의미에선 국정교과서라 할 수 없으나, 앞으로 정부 견해를 쓰라는 검정이 더 강해지면, 다양성은 없어지고 점차 국정교과서에 가까워질 수 있어 우려된다.

 

이번엔 한일 관계사를 둘러싼 사안이었지만, (만약 왜국의 옮긴이) 국회의원이 (일본의 옮긴이) 교과서에 대해 질의할 때마다 (왜국 옮긴이) 정부 견해를 각의 결정하는 방식이 계속된다면 어찌 되겠는가.

 

가족제도나 원전(‘원자력발전소를 줄인 말 옮긴이) 같은 에너지 정책 등에 대해서도 국가 견해에 따라 쓰라고 한다든지, 모든 영역에 이런 방식을 적용하면 교과서는 거의 정부 견해로만 국한될 수 있다.

 

정부 견해나 대법원 판례가 있는 경우에는 거기에 근거하는 기술을 하라고 요구한 2014년 개정 검정 기준이 자유로운 교과서 제작에 최대 문제가 되고 있다.”

 

- 일부 교과서는 문학 작품으로 위안소 실태를 알리려는 시도를 했다.

 

엄격한 검정 속에서도 필진은 가능한 한 역사적 사실을 가르치고 아이들에게 역사를 생각하도록 하기 위해 많은 연구를 하고 있다. 문학 작품을 통해 역사적 사실을 고찰해 가는 시도도 그런 아이디어의 하나라고 생각한다.

 

검정에 대해 집필자는 몇 가지 대응을 할 수 있다. () ‘이에나가 사부로(家永 三郎[가영 삼랑 옮긴이])’ 씨가 교과서 검정은 위헌/위법이라며 제도 자체의 시비를 다퉜던 교과서 재판은 유명하다.

 

이런 직접적 항의뿐 아니라, 교과서에 식민지 지배나 일본의 전쟁에 관한 (: <책임을 지다/빚을 지다>라는 뜻 옮긴이)의 역사를 생각하는 단서를 가능한 한 기재하려는 노력이 이뤄지고 있다.

 

직접적 용어를 쓸 수 없거나, 자세히 쓸 수 없는 경우에도, 관련 사료를 싣거나 적게나마 글을 남김으로써, 교사가 가르치거나 아이들이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단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 교과서를 집필하면서 염두에 둔 부분은 무엇인가.

 

단순히 역사적 사실을 나열하기보다는, 젠더(gender. 영어로 사회적/문화적인 성[]’을 일컫는 낱말 옮긴이) 관점이나 동아시아 시점, 사회관계의 역사적 변화 등을 배우는 것을 중시했다. 일본군 위안부나 난징대학살(남경[南京]대학살 옮긴이) 등도 식민 지배의 실태나 중일 전쟁의 특징, 여성이나 가족을 둘러싼 문제나 군대의 성격 등을 복합적으로 알아야 이해할 수 있다. 용어를 외우는 것만으로는 사실의 정확한 이해에 도달할 수 없으므로, 배경을 종합적 관점에서 기술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 한국 역사학계와도 교류해 왔다고 들었다.

 

교과서 집필을 시작하기 전에, 한일 간 역사공통교재에 대한 공통 연구 교류에 참여한 적이 있다. 지금 근무하는 신슈대에서도 학생 교류 세미나를 열고 있다. 이런 교류는 2000년대 초반에 많았다가, 최근엔 줄어들었다(어찌 보면, 예상할 수 있었던 결과다. 왜국 안에서 ‘<조센징>을 죽여라!’하고 외치는 넷우익 시위대가 사라지지 않는데, 왜국 서점 안에서 혐한 서적이 계속 팔리는데, 왜국 언론이 하루가 멀다 하고 한국을 모함하는 보도를 하는데, 이런 현실 속에서 한국인이 어떻게 일본인과 교류를 유지할 수 있겠는가? - 옮긴이).

 

현재 한일뿐 아니라 동아시아를 둘러싼 상황은 어렵지만(이제는 한/일 사이만 갈마[‘역사(歷史)’를 일컫는, 순수한 배달말 낱말]를 놓고 갈등하는 게 아니라, /중 간에도, 그리고 비엣남[Vietnam]이나 몽골 같은 아시아의 여러 나라와 제하[諸夏 : 수도 북경(北京)] 사이에도 갈마와 문화를 둘러싼 갈등이 심각하기 때문이다 옮긴이), 과거 교류의 성과를 바탕으로 앞으로도 학술, 교육, 젊은이들의 교류를 해 나갔으면 한다.

 

(나는 오오구시 교수와는 생각이 다르다. 한국 안에서 뉴라이트 같은 종일[從日 : 왜국을 따름] 세력이 사라지지 않는 한, 넷우익을 비롯한 왜국 우익이 나치처럼 철퇴를 맞지 않는 한, 왜국 왕실이 자기나라 우익을 내버려 두는 한, 교류는 아무런 상과를 거둘 수 없기 때문이다. 내가 열거한 사안들이 모두 해결된 다음에야 두 나라 사이에는 참된 교류가 시작될 수 있을 것이다 옮긴이)

 

한일 양국 젊은이들이 서로의 역사교과서를 읽어보는 시도도 해보고 싶다(만약 그렇게 한다면, 싸움이 안 일어나면 다행이고, 최악의 경우 교과서를 읽는 모임에 참석한 한국 학생이나 일본 학생에게 고소장이 날아올 수도 있다. 적어도 지금은 그렇다 옮긴이)."

 

도쿄 = 최진주 특파원

 

― 『 한국일보 서기 2022년 양력 48일자 기사

 

단기 4356년 음력 910일에, 오오구시 교수의 용기와 그가 한 바른 일에 경의를 표하면서도, 지금 왜국 상황을 보면 그가 하는 일이 왜국 사회에 받아들여지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어 우울해지는 개마두리가 올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