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나무는 가을이 되면 도토리를 떨어뜨립니다. 참나무 한 그루에서 많게는 수천 개의 도토리가 떨어집니다. 도토리는 다람쥐나 청설모의 가을철 주요 식량이 됩니다.
다람쥐는 잘 익은 도토리를 주워 땅에 묻어 저장해둡니다. 겨울을 대비하기 위한 다람쥐의 생존 본능입니다.
그러나 저장한 도토리의 90%는 (다람쥐가 - 옮긴이) 찾아내지 못합니다.
그렇게 다람쥐가 잊어버린 도토리의 일부는 봄이 되면 싹을 틔우고, 천천히 삼나무로 성장합니다(자라납니다. - 옮긴이). 다람쥐의 건망증이 참나무 숲을 만든 것입니다.
아름다운 숲은 자연의 넉넉한 인심으로 만들어 집니다. 인간의 과한(지나친 - 옮긴이) 욕심만 없다면 자연은 언제나 아름답습니다.
우리는 자연이 주는 사계절의 아름다움을 즐기고도, 편리함과 욕심 때문에 숲을 망가뜨리는 데 주저하지 않습니다. 필요한 만큼만 갖고, 나머지는 자연으로 돌려주는 것이 다람쥐와 참나무가 보여주는 자연의 법칙입니다.
우리의 욕심이 아름다운 자연의 하모니(조화 - 옮긴이)를 깨지 않도록, 발걸음 하나에도 배려와 존중이 담기기를 기대합니다.
- ‘류 완’ 님의 글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옥수수의 효능 8가지 (0) | 2021.08.04 |
---|---|
홍당무 얼굴에 ‘ 한잔 더 ’ ? ... “ 발암물질 마시는 셈” (0) | 2021.05.30 |
인간 수명 획기적으로 늘리는 방법 발견 (0) | 2019.09.09 |
에어프라이어로 조리된 식품은 정말 건강할까? (0) | 2019.07.11 |
[분석]종이로 읽을 때 vs 모니터로 읽을 때 이해도 차이 (0) | 2019.06.10 |